이번주는 cs에 대해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번 교육울 통해서 새롭게 배웠던 것은 네트워크 통신과 보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배움을 했습니다.
osi7계층인
네트워크 지원계층
1 계층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전기 신호 (전선, 네트워크선 통신 /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2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주소 설정 (MAC 주소 확인 및 설정 / 자신한테 보낸 데이터인지 확인)
3 계층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IP 주소 확인 및 설정 / 다른 컴퓨터에 통신을 담당)
전송 계층
4 계층 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통신 구현
(두 시스템이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지 판단 / 오류 복구 / 각 포트에 맞는 곳으로 전송)
사용자 지원계층
5 계층 세션 계층 : 통신 방식 결정 (시스템 간에 세션 관리 동기화 신호 주고 받음 / 수신 데이터 저장)
6 계층 표현 계층 :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논리 연산 여기서 다일어난다고 보면 됨)
7 계층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우리가 볼 수 있도록 변경)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동생에게 물어보니 영문명으로 외워두어야 한다고 한다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그리고 도메인부터 인터넷 주소에 대해서 조금더 알게 되었습니다.
http / https
포트 : http = 80, https = 443 포트를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3way handshake = 처음 통신을 할 때 신호를 주고 받는 것 / 요청(syn), 응답(ack) 를 주고 받음
4way handshake = 통신이 끝난 다음에 서 신호를 주고 받는 것 / 종료(fin), 응답(ack) 를 주고 받음
TCP/IP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단계인 3,4 계층의 위치로 중요한 부분이다.
TCP / UDP
TCP = 신뢰성 ⬆️ 속도⬇️ : 대부분의 방식
UDP = 속도 ⬆️ 신뢰성⬇️ : 유튜브 같이 빨리 정보만 가져오면됨 대신에 끈기는 경우가 있음
프로토콜 : 신호를 주고 받을 때 주고 받는 방식을 규칙을 정해둔 것
SSL : HTTPS의 보안인증 방식 (공개키 / 개인키)
CA : 보안인증 인증기관
취업 면접때 말고는 그렇게 빡세게 외울 필요는 없다고 하지만 이론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기에 가볍게 외워두어야 겠습니다.
'코딩 교육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5-20 AI 코딩 TIL (0) | 2024.05.20 |
---|---|
2024 3월 3주차 WIL (0) | 2024.03.15 |
2024 3월 2주차 WIL (0) | 2024.03.09 |
2024 3월 1주차 WIL (0) | 2024.03.03 |
2024 2월 4주차 WIL (1)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