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하루하루 배워가는 코딩에 대하여 내가 배우는 것 들을 정리하여 보자
프로젝트 경험 다듬기이력서를 어떻게 작성을 해야 할까? 문장의 길이가 긴 편~하여, 것으로, 때문에 같이 연결어를 써서 문장의 길이를 늘이지말고 문장을 끊어서 2개의 문장을 만들어준다. 소제목핵심 키워드를 알 수 있는 제목을 만든다.두괄식 표현먼저 이야기를 하면 좋을 것 같은 부분을 앞부분에 이야기를 할 수 있게 작성 즉 주장을 앞에 두고 근거를 뒤에 받침하는 식으로 작성그룹화같은 내용은 하나로 묶어서 적어주는 것도 필요하다. 이것들을 반영을 한다면?이렇게 깔끔하고 명확하게 적어줄 수 있다. 트러블 슈팅과 오류개선의 차이!트러블 슈팅과  오류개선의 뜻 :  문제가 생기면 수정하는 것하지만 트러블 슈팅의 차이로는? 문제해결역량 = 나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할 수 있는 영역즉 내가 개발자로써 뭘 할 수 있는지..
오늘은 그동안에 문제가 많이 해결이 된 것 같아 기분이 좋군요STT로 입력을 받아서 AI로 답변을 만들고 TTS로 말해주는 기능을 구현을 할 수 있어서잘 풀렸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고내가 원하는 방법으로 술술 일이 잘풀리니 팀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것에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import osimport timeimport speech_recognition as srfrom gtts import gTTSfrom openai import OpenAIimport pygame# 음성 인식 (듣기, STT)def listen(recognizer, audio): try: text = recognizer.recognize_google(audio, language='ko-KR') print..
생각보다 프로젝트가 만들기 힘들것이라는 예상이 됩니다!stt와 tts를 가져오는것 까지는 어떻게든 구하였지만이걸 openAI와 연동해서 입력을 stt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tts로 적어서 표현하고 openAI에게 메뉴를 추천하고 만들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생각 보다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처음에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 stt를 바로 마이크로 입력을 받아서 그것을 검색으로 넣고 싶었지만 스트리밍으로 받아오는 음성입력을 어디서 부터 끈어서 가져올 것 인지를 정하고 적용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우리가 처음에 만들려고 했던 규모가 생각보다 엄청 큰 큐모였다는 것이 작은 거 하나부터 직접 경험을 해보니 정말 잘 느껴지더군요일단은 만들수 있는 기능 부터 빠르게 만들어 보야 할 것 ..
최종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이제 시작이 되는 최종 프로젝트어떤 아이디어로 만들어 주면 좋을 까 생각을 해보았는데친구들의 아이디어를 추천 받아서 생각해낸 것이 고연령자들을 위한 키오스크 도우미 AI를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우리나이 때에 사람들은 키오스크 사용이 크게 어렵지 않게 사용을 할 수 있지만 요즘 무인가게도 많아지고 있는 세상에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어르신들이 많다는 알바의 고충을 보면 기계에 둔한 사람들도 사용을 할 수 있는 키오스크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팀 노션8조 - 실버라이닝 silver lining (notion.site) 프로젝트 기획 - 아이디어 회의 | Notionpigma를 이용하여 브레인스톰 아이디어 회의te..
설득력 있는 프로젝트 경험 키우기5분 기록보드!일기 적듯이 적어주면 좋지 않을까?위의 내용을 글로 적어주면?이 글을 다듬어 주면??핵심 키워드를 깃점으로 내용을 정리하고 화살표를 넣어 순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정리!문제해결역량 - 나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할 수 있는 영역!!다양한 기술을 스스로 고민 하고 적용을 할 수 있는 사람인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지 알수 있는 빠른 확인 방법! 이력서와 면접이력서 = 내가 뭘 했는지 보여주는 문서면접 내가 뭘 했는지, 할 줄 아는지 설명하는 미팅!프로젝트에 대한 질문질문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프로젝트에 대해서 지원자가 어떤 부분을 자신있어 하는지?우선순위를 어디에 집중을 하는지?질문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내가 무엇을 강조해야 하는지? ..
팀 프로젝트팀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동작을 하면서 생기는 오류와 테스트 fail을 검사하면서, 다듬는 부분을 신경을 써서 만들었고.동작하는 장면을 영상으로  만들어서 설명하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3Vz563b4cx0처음에 만들었을 때 검색하는 부분이 예상 로직대로 움직여 지지 않는다는 걸 영상을 찍으면서 발견을 해서... ㅋㅋ문제부분을 해결하고 찍은 다음에 영상을 잘라서 만들었는데.코딩을 하면서 영상을 만드는 날도 있을 줄이야..ㅎㅎ그동안 만들면서 생겼던 오류들을 해결 했을 때마다 정리를 해두니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기에 좋았던 것 같습니다.이렇게 2번의 drf프로젝트를 만들면서 dj..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백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한다면 데이터베이스와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지식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gunicorn은 각 장고 워커에 일을 배분 하는 매니저의 역할을 한다.한 번에 요청이 무수하게 많이 들어온다면, 서버가 터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리를 하는 것입니다.또한 모든 워커는 하나의 sql를 공유합니다. 우리가 작업표시줄을 켜서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볼 수 있는 것처럼ec2에서도 현재 작업중인 프로세스를 볼 수 있습니다.sqlite의 단점 :동시 처리 성능이 타 sql에 비해 낮다,확장성이 좋지 않다.지원이 약함(오픈소스로 회사의 지원을 받기 힘듬)데이터 타입 부족기능 부족 그래서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이!.MtSQL입니다..
팀프로젝트를 만들어 봅시다!저번 주 튜터님에게 배웠던 test.py를 이용한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방법을 보았는데.내가 만든 것을 구축하고 테스트 해보는 것이 직관적으로 판단을 하기도 좋고 postman을 이용해서 일일이 확인을 하지 않고 볼수 있다는 것이 아주 편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accounts test.pyfrom .models import PasswordQuestionfrom django.test import TestCasefrom rest_framework.test import APIClientfrom rest_framework import statusfrom django.contrib.auth import get_user_modelUser = get_user_model() # 현재 활성..
매일 기록하는 5분 기록 보드시간이 날때 마다 생각이 날때마다 하나씩 적어줄 수 있도록 합니다.django 에서 test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습니다!.우와 이런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줄이야...Testing in Django | Django documentation | Django (djangoproject.com) Testing in Django | Django documentation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docs.djangoproject.com이걸 이용해서 commit를 하기전이나 merge를 하기전에 test를 통해서 합격이 되면 진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이런 기능을 잘 이용할 수록 더욱 잘 통합을 ..
과제 제출은 마무리를 했습니다!.이제 곧 이어서 만들게 될 팀프로젝트를 무엇을 만들어야 할지... 생각을 해야 하는데..아직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는군요.. 구현하고 싶은 건 있지만 상담을 해보니 아직 내가 완벽히 구동하기에는 어려움 있다는 것을 듣기도 했고 완벽하게 구동은 힘들어도 작은 기능부터 구현을 해보는 순으로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우재 튜터님의 강의를 보면서 만들었던 내용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는데 정말 쉽고 간단하게 만들수 있구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ㅎㅎ무엇보다.Blacklist app — Simple JWT 5.2.2.post30+gfaf92e8 documentation (django-rest-framework-simplejwt.readthedocs.io) Blackl..
HyunjunPark
박현준의 코딩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