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팀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우리 팀이 만들것은 영화 리뷰 나눔을 하는 게시판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거대한 화이트 보드를 이용하는 사이트를 사용해서 구상을 하고 어떻게 만들어 갈지를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가면서 내가 전담을 하게 될 부분은 검색 부분이였는데 데이터베이스의 값을 가져와서 필요한 값만 찾고 HTML로 값을 내보내주어 반영하는 방법입니다. 아직 초반 구상에 시간을 많이 투자를 하다보니 시작이 멀게 느껴지는데...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팀 프로젝트 내용은 따로 작성을 하였으니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영화 리뷰 게시판 만들기 - 팀 프로젝트 1일차 — 박현준의 코딩 교육 (tistory.com) 영화 리뷰 게시판 만들기 - 팀 프로젝트 1일차 팀 프로젝..
팀 프로젝트를 시작해 봅시다! GPT 웹종 팀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는 시간! 게시판 만들기~! 우리 팀에서 만들어 볼 것은 영화 게시판 입니다. 영화에 리뷰를 달고 그 리뷰를 서로 공유 하며 나누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 볼 것이고 구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프론트 페이지를 만들고 각 기능을 나누어서 목적에 맞게 배분을 하는 형식으로 할 예정입니다. 이걸 만들면서 좋은 걸 알게 되었는 데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서로 공유하고 나누기 좋은 프로그램인 "피그마"라는 사이트로 들어가서 서로 같은 화면을 보면서 공유가가능 한 화이트 보드 같은 웹사이트입니다. Figma: The Collaborative Interface Design Tool Figma: The Collaborative Interface Design ..
모의 면접 답변! 1. 지수 백오프 알고리즘을 설명하시오 지수 백오프(Exponential Backoff)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재전송 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특히 통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이나 혼잡과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전송이 실패한 경우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시도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알고리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전송 지연 시간 증가: 초기에는 재전송 시도 간의 시간 간격이 짧게 설정되어 있지만, 전송이 여러 번 실패할 경우 재전송 간격이 점차 증가합니다. 이는 혼잡이나 충돌로 인한 문제가 잠시 해소되도록 기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수적 증가: 재전송 간격의 증가는 지수적..
모의 면접 질문 1. 멀티스레딩 무엇이며, 사용하는 이유는? 멀티스레딩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각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포함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하나의 프로세스의 데이터를 CODE, DATA, QUEUE, STACK 각 스레드가 개별적인 STACK만 가지고 공유자원을 나누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에 프로세를 여러 개를 동작시키는 것보다 메모리적으로 이점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나 멀티스레딩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공유 자원에 대한 동시 접근이나 스레드 간의 동기화 문제 등의 복잡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버그나 성능 ..
SQLD자격증을 위해서 공부를 살살 배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 사이트의 정리 요약 본은 보고 학습을 하는 방향으로 해보겠습니다. [국가공인] SQL 개발자(SQLD) 가이드(2020.08.25.) : 네이버 카페 (naver.com) [국가공인] SQL 개발자(SQLD) 가이드(2020.08.25.) 요약자료(4개) 링크를 추가했습니다. (2020.08.25.) 정리된 SQL 개발자 가이드로 시험을 대비할 수 있도록 자료실 교재 및 기출문제 복원자료를 취합하였습니다. ... cafe.naver.com 위에 블로그에서 좋은 데이터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및 유의점 중복 - 같은시간 같은 데이터를 제공한다. 비유연성 - 사소한 업무변화에 데이터모델..
모의 면접 질문 답변을 만들어보자. 자료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서술하시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최적에 저장공간을 할당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선택해야 하며 각 자료구조의 데이터의 삽입과 호출의 특성을 이용해서 유용하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료구조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사용할 때 8byte만 사용해도 될 데이터를 16byte 32byte에 저장을 하게 된다면 하나일 때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겠지만 점점 많은 데이터를 받게 되면서 낭비하는 데이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를 받을 수 없게 될 것이고 너무 작은 자료구조를 사용한다면 갑자기 커져버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가 없게 되어버려서 오류가 날 수 있는 상황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알맞은 상황에 알맞..
오늘은 SQL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져 보자. SQL 이란 SQL 은 데이터베이스와 대화를 하기 위한 언어 테이블과 컬럼 테이블은 아래와 같은 구조 각 열을 ‘컬럼’ 혹은 ‘필드’ 라고 부릅니다. 데이터 조회하기 (SELECT, FROM) 컬럼에 별명(alias) 을 주기 order_id as ord_no restaurant_name "식당 이름" 조건에 맞는 데이터로 필터링하기 (WHERE) BETWEEM : A 와 B 사이 기본 문법 : between a and b 예시 : 나이가 10 과 20 사이 where age between 10 and 20 IN : ‘포함’ 하는 조건 주기 기본 문법 : in (A, B, C) 예시1 : 나이가 15, 21, 31 세인 경우 age in (15, 21, 31)..
이번주는 cs에 대해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이번 교육울 통해서 새롭게 배웠던 것은 네트워크 통신과 보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배움을 했습니다. osi7계층인 네트워크 지원계층 1 계층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전기 신호 (전선, 네트워크선 통신 /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2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주소 설정 (MAC 주소 확인 및 설정 / 자신한테 보낸 데이터인지 확인) 3 계층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IP 주소 확인 및 설정 / 다른 컴퓨터에 통신을 담당) 전송 계층 4 계층 전송 계층 : 신뢰성 있는 통신 구현 (두 시스템이 신뢰성을 가지고 있는 지 판단 / 오류 복구 / 각 포트에 맞는 곳으로 전송) 사용자 지원계층 5 계층 세션 계층 : 통신 방식 결정 (시스템 간에 세션 관리 ..
마저 복습을 해봅시다 DBMS 튜플(행,레코드)의 수는 카디날리티 어트리뷰트(컬럼, 열, 필트)의 수는 디그리 도메인 : 특정값만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 트랜젝션 : 논리적 기능을 하는 절차 결제나 회원가입 단계에서 도중에 취소가 될 때 회복을 시켜줌(초기화) 특성 원자성 : 끝까지 안가면 초기화 일관성 : 끝까지가면 데이터를 보관 후 다시 원래대로 독립성 : 둘 이상이 동시에 동작시 서로 간섭 X 영속성, 지속성 : 성공적으로 완료된 결과는 영구적을 보관 SQL언어 종류 DDL : CREATE, ALTER, DROP, RENAME DML : INSERT, UPDATE, DELETE, SELECT DCL : GRANT, REVOKE, TRUNCATE TCL : COMMIT, ROLLLBACK,..
기분좋은 날씨에 오늘 강의를 완강 해보도록 합시다! (1) 타임아웃이란? 네트워크에서 타임아웃(Timeout)은 장치나 프로그램이 연결을 중단하기 전까지의 응답 시간을 의미합니다. 두 장치 간 네트워크 통신 시 커넥션(연결)이 발생하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이때 어떠한 이유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전달이 지연되는 등의 이유로 대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기가 무한정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타임아웃에 의해 연결이 해제됩니다. (2) 타임아웃 종류 커넥션 타임아웃 세션 타임아웃 서버 타임아웃 DNS 타임아웃 등 (3) 타임아웃이 필요한 이유 1. 지속적인 연결 시도 방지 장치와 장치가 연결될 때 문제가 있어서 응답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타임아웃에 의해 연결 해제 및..